입시 알 지/입시의 정석

[수시의 정석] - 학종 내신 반영 과목

치대딩 2023. 7. 4. 01:58

 

 

 

 

 

안녕하세요! 치대딩입니다 :)

 

 

 

오늘은 수시의 정석 시리즈로 '학종 내신 반영 과목'이란 주제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간단하게 핵심만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학종 내신 반영 과목에 대하여

 

학종 내신에는 대체로 국어, 수학, 영어, 과학/사회탐구, 기타 선택과목이 반영됩니다.

 

 

 

 

1.

내신 반영 과목 중 국어는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과목으로, 대체적으로 독해와 작문 능력을 평가합니다.

 

학년 별로 국어, 문학,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등의 이름으로 과목이 개설되어 있고, 현 교육과정에 따라 선택해서 들을 수 있습니다. 즉, 고3 때 국어 수업을 듣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죠.

 

 

 

 

2.

수학은 수리적인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과목입니다.

 

국어와 마찬가지로 학년 별로 과목이 나뉘어지는데,

 

대체로 고1 때는 수학 상, 하 / 고2 때는 수학 1, 2 혹은 기하 / 고3 때는 미적분, 확률과 통계, 경제수학, 심화수학

이라는 이름으로 과목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어떤 과목을 고르느냐에 따라 배우는 내용이 달라지긴 하지만, 그래봤자 수능 범위 내에서 조금씩 달라집니다.

 

 

 

 

3.

영어는 영어 실력을 평가하는 과목으로, 독해와 작문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학교 별로 개설된 과목 이름 차이가 매우 큰 편으로, 학교 별로 어떤 이름인지 파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심화영어독해나 심화영어작문 등의 이름으로 과목이 개설되기도 합니다.

 

 

 

 

4.

탐구는 사회 혹은 과학 분야에서 실험과 이론, 관찰 등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 해결 능력과 과학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는 과목입니다.

 

앞서 살펴본 국어, 수학, 영어와 다르게 가장 명확하게 과목 이름이 구별됩니다.

 

과학탐구의 경우에는

고1 때는 통합과학 / 고2 때는 물리학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 / 고3 때는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또는 '고급'이 앞에 붙는 고급물리학, 고급화학, 고급생명과학, 고급지구과학 과목이 개설되기도 합니다.

 

사회탐구의 경우에는

고1 때는 통합사회 / 고2, 고3 때는 사회문화,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경제,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정치와 법이 있습니다.

 

 

 

 

5

이 밖에도 기타 선택과목이 있는데, 예체능과 진로 과목을 포함합니다.

 

진로 선택과목으로는 사회문제탐구, 여행지리, 고전과 윤리, 과학사, 융합과학, 생활과 과학 등과 같이 탐구 영역과 관련된 과목이 있고

 

제과제빵, 미디어, 미술사 등 예체능과 관련된 과목들이 있습니다.

 

 

 

 

 


 

 

 

 

 

중요한 건,

※ 내신 반영 과목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며, 대학마다 입시 요건도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대학의 입시 요건을 꼭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연세대의 2024학년도 수시 입시 요강에 따르면

 

 
 

 

 

위와 같이 과목을 분리하여 선택과목 별로 점수 산출 방식을 다르게 합니다.

 

 

https://admission.yonsei.ac.kr/seoul/admission/html/counsel/dataView.asp?BBS_NO=3026&s_code=BBS_SUBJECT&s_data=&s_page=1

 

 

 

 

 

한양대의 2024학년도 수시 입시요강을 살펴보면

 

 

 

 

위와 같이 연세대에 비해서는 더 포괄적인 범위로 과목들을 분류하였으나, 점수 산출 방식은 연세대와 같이 진로 선택 과목을 구별시켜 놓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go.hanyang.ac.kr/web/mojib/mojib.do?m_year=2024&m_type=SUSI

 

 

 

 

 


 

 

 

 

더 중요한 건,

 

과목별로 내신 등급을 산출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모바일로 네이버에 '내신 등급 계산기'를 검색하면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선택 과목 별로 내신 등급을 계산할 때 석차 (등수) 뿐만 아니라,

 

'단위(=시수)'를 기입해야 합니다.

 

☆ 여기서 단위란, 일주일에 그 수업을 몇 번 듣는지를 뜻하는 것으로 ☆

 

한 학기에 그 수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정도인지를 측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에 따라, 단위 (시수)가 큰 과목일수록 나중에 최종 내신 산출시 영향을 끼치는 비중이 커질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1등급인 '4시수 국어'와 '1시수 과학사' 과목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4시수인 국어의 등급이 2등급으로 내려가는 상황이 1시수인 과학사의 등급이 2등급으로 내려가는 상황보다

최종 내신은 더 크게 떨어지는 것이죠!

 

 

 

 

 

따라서, 어떤 선택과목이 학종에 반영되는지 확인하고,
각 과목별로 시수는 어떤지 확인하여
시수가 큰 과목일수록 등급 관리를 철저히 하셔야 합니다!

 

 

 

 

* 혹시 학교 별로 학종 내신 반영 과목이 궁금하시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답해드리겠습니다 *